'html'에 해당되는 글 100건
- 2014.01.21 (드림위버)점프메뉴,네임앵커,아이프레임소스,css스타일행간
- 2014.01.21 백그라운드 설정법
- 2012.09.11 신규회원모집안내문 1
- 2012.03.02 최신갤러리 베이직_섬네일엔진
- 2010.12.27 부동산변동기록
- 2009.05.31 폰트크기에 상관없이 행간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사이트
- 2009.04.24 스크롤시에도 고정위치배너
- 2009.03.22 부동산 투기와 부동산현황 및 예시
- 2009.02.20 우측따라다니는배너소스
- 2008.10.12 ekadia의 블로그입니다. 2
사용법
<?=latest("autoslide", "sub3_1", 3, 36); // latest(스킨, 게시판아이디, 출력라인, 글자수); ?>
120302_내메모
utf-8
(섬네일엔진 따로설치할것) 원본출처에 첨부있음
롤오버시 흑백효과
latest.skin.php 에 수정표시해둠
★센터를 맞출때 레프트 패딩으로 맞추어야 한다. align=center를 주는것이아니다.
텍스트부분(제목)도 <div>값으로 레프트 패딩값을 맞추어 주어야한다.
출처
오토슬라이드갤러리 수정
http://ekadia.tistory.com/entry/%E2%98%85%EC%98%A4%ED%86%A0%EC%8A%AC%EB%9D%BC%EC%9D%B4%EB%93%9C-%EA%B0%A4%EB%9F%AC%EB%A6%AC%E2%98%85
정확하게 말하자면 폰트크기에 상관없이 행간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css소스를 만들어 주는 사이트
★★★<script>소스는 바디안에들어가야한다.
위치고정을 할때 레이어로 레프트나 라이트 마진값을 줘서 고정을 했지만
스크롤했을때 위치가 고정되지않는다는 단점이 발견되어서 찾은 소스이다.
스크롤했을때도 위치에 고정할수 있는 js 소스이다.
배너위치는 js파일에 주석으로 표시를 해 놓았다.(한글깨져있음)
센터정렬위치로 할때는 위치넣는 곳에다음 소스로 주면 된다.
(document.body.clientWidth-logo.style.pixelWidth)/2
맨 윗줄에있는 소스는 배너의 가로세로 크기이다.
스크롤시고정위치배너(플래시1개만 가능)
위와같은 원리지만 플래시 1개만 가능하다. 여러개사용하면 안됨
따라다니는 4측면양끝네비게이션
바른씨엔씨 홈페이지에 넣은 소스
테이블 하나에 효과를 주었고 사실상 위와 원리는 같다.
레이어 하나를 전체화면으로 잡아서 테이블을 나눈후에 4측면 끝에 정렬하도록 만든 소스.
소스도 깔끔하고 셋중에는 이게 제일 좋은것같다. (소스원본_(구)인하드)
헤드가끝나고 바로넣으면 된다.(바디시작직전부분)
결국엔 완성 4측양면네비게이션_본문에 링크자유자재
위의 따라다니는 4측네비게이션(3번째파일)은
본문에서 링크가 안걸린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발견하고
수정한것이 첫번째소스와3번째소스를 결합해서만든 이 네번째파일이다
구조는 ( 왼쪽정렬따라다니는레이어 + 우측정렬따라다니는 레이어 + 스크롤따라다니는이미지 )이다
투기는
1;가수요자의 행위이며,
2;사회에 기여도가 전혀 없다.
3;이용이나 사용 관리할 의사가 없다
4;전매로 인한 투자 수익을 바라고
5;도박적이며,사기적이며,모험적 행동이 뒤 따르고
6;단기간에 필요물건 이상을 구입하고
7;예측 불허의 수익을 기대하고
8;나대지나 미성숙지에 투자한다.
9;모험지에 투자한다.
이와같은 투자가 투기인 것이다. 물론 투자도 수익을 목적으로 투자한다. 부동산 투자는 안전성과 원금 보장을 전제로 이익을 내는 부동산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차액을 얻는다면 마음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부동산 투자라도 개발을 하게 된다면 위험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 위험은
1;사업상의 위험이 있으며
2;금융마련에 대한 위험
3;법률적 위험
4;인프레대 대한 위험 등이 있을수 있다.물론 부동산 투자는 수익을 전제로 투자한다.
수익률을 내기 위한 마음은
1;기대 수익율
2;요구수익율
3;실현수익율이 있다.
원하는 만치, 예상하는 만치, 충족하는 만치, 그 수익이 달성되었는가가 중요하다. 부동산 투자는 한곳에 하지 않고 분산투자하는 방식이 있다. 이때 우리는 포토폴리오 이론을 생각한다. Portfolio theory는 자산이 한곳에 있을시 발생활수 있는 불확성을 미연에 제거하기 위해 분산해 투자함으로 안전한 재산관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부동산은
1;경기변동에 의해
2;이자율 변동에 의해
3;인프레의 의해
등등은 시장 상황에 의해 갖는 대부분의 부동산이 함께 갖는 위험이다.
부동산 투자시 우리는 항상
1;안전성
2;수익성
3;환금성
4;가치의 증대
5;세제면의 이익
6;관리의 부담감
7;순수익의 재투자
8;지랫대의 효과을 볼수있나을 검토한후 투자한다.
어떤 부동산을 본인이든, 전문가이든, 믿을만환 사람이든, 친구이든, 가족이든 누구의 말을 듣고 투자한다.그리고 여러번 잠못이루며 생각하고 투자한다. 이게 부동산 투자한 사람들의 한결같은 마음이다. 그 부동산에 대한, 그 지역에 대한 사전 연구가 있었다면, 물건만 좋다면 무작정 투자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때는 그 부동산에 대해 너무 잘 연구해 알기 때문에 분석이나 평가가 별로 필요 없이 즉시 결정을 내릴수 있는 것이다. 이때도 약간의 망설이다 결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부동산 투자시도 경기의 주기에 따라 수익이 빨리날수도,늦게 날수도 있다.
호경기에 부동산을 구입했다면 불경기로 돌아가 긴 세월을 지나야 오름을 피부로 느낄수 있다. 그러나 저점에 구입한후 부동산 경기가 좋아진다면 짧은 기간에도 자신의 부동산이 오르고 있음을 피부로 느낄수 있는 것이다. 이때는 자신도 모르게 다른일도 잘 풀리고 입가에는 항상 미소가 가득해 있을수 있다고 본다. 호경기, 후퇴기, 불경기, 회복기의 순서을 밟게된다. 어느 주기에 구입했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부동산은 고점과 저점이 있다. 고점에 구입했다면 막차을 타는 결과가 되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러나 저점에 구입했다면 조금만 기다리면 좋은날이 마냥 한동안 계속된다. 시기을 잘 만나야한다. 즉 때을 잘 찾아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동산 주기는
1;계절적 주기
2;단기주기
3;중기주기
4;장기주기로 나뉜다.
부동산 투자의 주기는 개발도상국은 대체로 단기주기로 이어지고, 초보선진국은 중기주기가, 선진국은 장기주기가 대부분이다. 장기주기일지라도 간간이 오를려다 내려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게 장기 주기인 것이다. 어떻게 보면 낚시밥인 것이다. 그럴때 잘 매도하면 수익을 낼수 있다. 부동산은 오르는 시간대도 하락한 부동산이, 하락시도 오르는 부동산이 있다. 지역도 매한가지로 보면 된다.부동산은 투자 수익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부동산은 일시적으로 오를수도 있지만 봄에 오르지 못하면 불경기인 여름이오고, 여름이 지나면 오를려다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고로 투자시는 언제든 매도할 준비을 하고 투자해야 했다. 즉 수익이 난 부동산을 하락할 가능성이 보이면 즉시 매도하고, 투자한 부동산이 수익도 못 낸체 하락을 해도 더 큰 손해을 보지 않기 위해서는 급히 매도 할 준비을 갖춘 투자자만이 투자을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부동산 투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기도 하며,주택에서 토지로의 기업도시, 관광도시, 골프장, 테마도시, 혁신도시 등 갖가지 방법으로 정부가 부동산 투기을 일으켰는데도 일반 투자자들은 먼산 바라보듯 했다. 과거 부동산태평양이 음성에 다녀온후 물건 투자크럽에 몇개 올리니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게 무었을 뜻하는지 지금도 부동산태평양 홈피 내용, 키포인트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 흔하다. 과감히 배팅하여야 하는데 망설이다 투자 놓히는 경우가 흔하다.
지역적으로 잘못 판단하다가는 큰 낭패을 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수익이 나면 매도하고 새로운 투자처을 찾아야 된다는 이론도 반 정도만이 맞을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정보에, 분석에, 결단력에, 유능한 컨설트에 의한 투자보다도 1%의 지역에서, 부동산에서의 확률로 투자을 했으나 초기 임대차 올려주기 위한 호황에 그 부동산의 강속구 같은 투기의 열풍에 정책 내 놓는다. 앞으로의 부동산은 70%이상의 지역에서 70%이상의 부동산이 보합과 하락 할 가능성이 높다.여태까지의 부동산에 대한 이론도, 투자방법도, 투기꾼들의 행세도 재정립해야 할 시기다. 테마도시에 의해 주택에서 토지에 이르기까지 투기장화됐다가 늦추어진 부동산 시장이다.
안전한 투자을 해야했으며, 테마별 투자을 하되, 쉽게 버릴 수 있는 마음의 준비가 된 상태서 투자을 하였으나 투기화된 시장서 면역이 된 투자나, 투자 근처에도 가지 못하고.투기꾼들 뒷 구경만 했던 부동산 투자시장이었다. 결단력이 부족한 상태에서의 투자는 투자 않는게 더 현명할 가능성도, 투자수익을 내지 못해 안타까웠다. 우리나라 금리는 앞으로 하락한다. 십여년이 지나면 5%이하의 하락도 가능하며, 부동산과 금리는 아무 영향이 없는 시대로 이미 전환된 상태다. 금리가 5%이하로 하락시 중산층에서 부동산을 재차 구입하려는 세력이 일시나마 일어나게 되는 시기도 오게 된다. 부동산과 금리는 아무 영향이 없다 환란때 세계 최초로 말하니 미쳤다고 했으나 2004년도에 이어 2005년도도 4%내외의 금리에 저축은 제로 금리가 되었던적도 있었으나 2008년 8%대까지 다시 상승햇으나 선진국 금리 낮추고 있다. 소수만이 금리을 이용해 투기을 했던 것이며, 그들에게 과감히 세금을 물려야 하지만 그 투기꾼들이 정책가들, 고위직 그들의 가까운 사람들이기에 엄포로 끝났었다.
앞으로 부동산은 분양아파트에서 임대 아파트로 100%전환해 가며, 초고층 아파트는 재건축이나 재개발도 못하는 패기물이 될 가능성도 높은 시기는 훗날 오게 되는 것이다. 패기물 아파트는 35-70층 아파트로,용적율 500-1000포인트로 변모해간다. 지분이 많고, 고가 분양지역에서는 황금을 낳는 거위의 재건축이 될 것이다. 부동산 버블이 올때 고층 아파트에서 저층아파트나 연립으로 전환도 되어간다. 그러나 부자들은 단독주택이나 토지을 구입하여 놓고 직장따라 임대 아파트에서 사는 세상이 오게 되는 것이다.
헤드안에 ----------------------------------
<SCRIPT LANGUAGE="JavaScript">
<!--
var stmnLEFT = 800; // 스크롤메뉴의 좌측 위치
var stmnGAP1 = 200; // 페이지 헤더부분의 여백 (이보다 위로는 올라가지 않음)
var stmnGAP2 = 150; // 스크롤시 브라우저 상단과 약간 띄움. 필요없으면 0으로 세팅
var stmnBASE = 250; // 스크롤메뉴 초기 시작위치 (아무렇게나 해도 상관은 없지만 stmnGAP1과 약간 차이를 주는게 보기 좋음)
var stmnActivateSpeed = 10; // 움직임을 감지하는 속도 (숫자가 클수록 늦게 알아차림)
var stmnScrollSpeed = 10; // 스크롤되는 속도 (클수록 늦게 움직임)
function RefreshStaticMenu()
{
var stmnStartPoint, stmnEndPoint, stmnRefreshTimer;
stmnStartPoint = parseInt(STATICMENU.style.top, 10);
stmnEndPoint = document.body.scrollTop + stmnGAP2;
if (stmnEndPoint < stmnGAP1) stmnEndPoint = stmnGAP1;
if ( stmnStartPoint != stmnEndPoint ) {
stmnScrollAmount = Math.ceil( Math.abs( stmnEndPoint - stmnStartPoint ) / 15 );
STATICMENU.style.top = parseInt(STATICMENU.style.top, 10) + ( ( stmnEndPoint<stmnStartPoint ) ? -stmnScrollAmount : stmnScrollAmount );
stmnRefreshTimer = stmnScrollSpeed;
}
else {
stmnRefreshTimer = stmnActivateSpeed;
}
setTimeout ("RefreshStaticMenu();", stmnRefreshTimer);
}
function InitializeStaticMenu()
{
STATICMENU.style.top = document.body.scrollTop + stmnBASE;
RefreshStaticMenu();
STATICMENU.style.left = stmnLEFT;
}
-->
</script>
바디안에------------------------------------------
<!-- 스크롤바 움직이는 자바스크립트 -->
<!-- 스크롤바 움직이는 자바스크립트 -->
<!--스크롤바를 따라다니는 배너(레이어)-->
<div id="STATICMENU" style="position:absolute; left:800px; top:333px; width:150px; height:199px; z-index:1">
배너테이블
</div>
<!--스크롤바 따라다니는 배너(레이어)끝 --->
<script language="javascript">InitializeStaticMenu();</script>
*만약에 안되면 드림위버 맨위에 소스 지울것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machska?Redirect=Log&logNo=60014392306